Ample Guitar 매뉴얼
[Ample Guitar]
1. Setting Panel
1) Save/Load Preset
: 변경된 Preset을 저장하거나 불러들일수 있다.
2) Instrument Path Setting
: 불러들이는 샘플 라이브러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3) Master Tune
: 430~450 Hz 구간내에서 tune을 변경할수 있다.
4) Midi Out
: Midi Out을 셋팅하는 곳
5) Max Voices
동시에 연주할수 있는 Voice 수를 조정할수 있다.
6) Poly Bender
[On] 상태일 때 Open String과 멀티노트를 Bending 할 수 있다.
2. Instrument Panel
1) Sample Library
: Acoustic Gt.의 library는 Finger, Pick, Strum 3가지
Electric Gt.의 library는 Neck, Both, Bridge 3가지
* 연주 중에는 Library는 변경불가.
2) Sound Mode (Acoustic 에 한함)
: 2개의 Mono, 2개의 stereo를 제공, 마이크 Volume,pan, width를 조절할 수 있다.
3) Open String First (keyswitch [G#6])
: High position에서 open string을 사용할 때, Capo Logic과는 관계없이 우선적으로 open string이 사용된다.
High Velocity로 [G#6] 키를 누르면, [open string first]에 불이 켜지며 활성화되고, Low Velocity로 [G#6]키를 누르면, [open string first]에 불이 꺼지며 비활성화된다.
4) Play Mode
: 3가지 모드(Standard Mode, Keyboard Mode, Solo Mode)가 있으며, Solo Mode와 Keyboard Mode를 선택할 경우 Auto Legato를 Mute 시킨다.
★Keyboard mode가 ON일 경우, 같은 기타현에서 여러 음을 연주할수 있다.
5) Auto Legato Mode (standard mode일 경우)
: Keyboard/Solo Mode가 off 일 경우 같은 줄에 두 개의 음이 연주될 때, 자동적으로 두 음은 Legato로 연주된다. High Velocity로 [D#6] 키를 누르면, Auto LS가 활성화되고, Low Velocity로 [D#6] 키를 누르면, Auto HP가 활성화된다.
*Auto LS : Legato Slide 주법약자
*Auto HP : Hammer-on & Pull-off 주법약자
3. Main Panel
1) Articulations and Poly Legato
: 각각의 Key Switch를 눌었을 때 각 주법마다 사용가능한 Key Range가 인터페이스 건반아래에 파란색 선으로 나타난다.
▶ Sus (Sustain & Pop) - Keyswitch [C0]
: 연주음의 Velocity가 126 이하일때는 Sustain, 127일때는 튀는 사운드가 난다.
▶ NH (Natural Harmonic & Artificial Harmonic) - Keyswitch [C#0]
: Electric Gt.에서는 연주음의 Velocity가 126 이하일때는 Natural Harmonic, 127일때는 Artificial Harmonic 사운드가 난다.
▶ PM (Palm Mute) - Keyswitch [D0]
: 연주하는 음의 Velocity가 낮을수록, mute depth가 커진다. 또한 C0(Sus)와 D0(PM)를 동시에 눌러 두 기능을 동시에 활성화시켰을 때, 두 음을 차례로 연주할 때, 두 번째 음의 Velocity가 강하면 Sustain으로 연주되고, Veocity가 낮으면 Palm Mute로 연주된다.
▶ SIO (Slide In from below & Slide Out downwards) - Keyswitch [D#0]
: 어떤 음을 연주하기 전에 D#0를 누른 후, 음을 연주하면 Slide In 주법으로 연주되고, 연주할 음을 먼저 누른 후, D#0를 누르면 Slide Out 주법으로 연주된다. SIO주법은 사용한 후 바로 Sustain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 LS (Legato Slide-Poly Legato) - Keyswitch [E0]
: 두 개의 음이 연속적으로 연주할 때 먼저 E0 키를 누른 후 두 음이 서로 겹쳐서 연주되면 두 음 사이에 Slide 주법을 사용할 수 있다.
높은 Velocity값으로 E0를 누르면 Fret 위치가 달라지고, 낮은 Velocity 값의 E0는 Fret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 Slide 속도: 2 Fret 이상의 긴 Legato Slide를 연주할 때, 두 음간의 Slide 속도는 두 번째 연주되는 음의 Velocity값이 높으면 속도가 빠르고, 낮으면 느리다.
* Strum Slide(Strum Mode): [E0]를 누른 후, Strum chord를 변경하면, 앞에 연주한 chord와 뒤에 연주한 chord는 같은 String에서 다른 fret에서 Slide 주법을 연주한다.
* Auto LS: Keyboard/solo 모드가 off 인 상태이고, Auto LS 모드이면, 기타의 같은 줄에서 연주되는 두 음이 서로 겹쳐 연주될 때 자동적으로 Slide 주법으로 연주된다.
* Poly Legato: Fret 위(Open string음 제외)에서 동시에 눌러진 두 음이상의 음들(legato가능한 음에 한함) 또한 Legato 주법이 가능한다. 예를 들어, C2와 E2을 동시에 누른 후, 음을 겹쳐서 누른 F#2음을 누르면, C2와 E2음이 동시에 D2와 F#2음으로 Slide 된다. 즉, F#2 는 최종목표음을 지정해주는 역할로 이전 음들이 몇 Fret을 Slide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F2를 눌렀다면, 1 fret을 이동, F#2는 2 fret이동을 지시하는 역할이다.
▶ HP (Hammer-On & Pull-Off) - Keyswitch [F0]
: 두 개의 음이 연속적으로 연주할 때 먼저 F0 키를 누른 후 두 음이 서로 겹쳐서 연주하면 두 음 사이에 HP 주법을 사용할 수 있다. 높은 Velocity값으로 F0를 누르면 Fret 위치가 달라지고, 낮은 Velocity 값의 F0는 Fret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 Auto HP: Keyboard/solo 모드가 off 인 상태이고, Auto HP 모드이면, 기타의 같은 줄에서 연주되는 두 음이 서로 겹쳐 연주될 때 자동적으로 HP 주법으로 연주된다.
* Poly HP & Strum Hp: Slide 주법과 동일하게 가능하다.
▶ SG (Slide Guitar) - Keyswitch [F#0]
: Velocity 값에 따라 Slide 량이 달라진다.
2) Doubling Toggle & Width
: 다른 한 대의 Guitar와의 Doubling 연주를 가능하게 하고, Main Panel에서 [DOUBLE]를 ON 상태로 바꾸고, 왼쪽 Knob으로 Doubling Width를 조정할수 있다.
3) Resonance (공명, 울림) 조절
: 연주중에 기타 Resonance를 조절 할 수 있다. 단, Sustain Pedal을 누른 상태에서는 앞에서 연주했던 음의 resonance가 계속 들리게 되므로 주의해야한다.
* Keyswitch [G5]: Silent Press
* Keyswitch [G#5]: Silent Stroke
4) Fret Sound
: 실제 Fret Sound를 연주 중에 들리게하는 기능으로, Fret Sound 토글키를 ON/OFF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Main Panel에서 [FSA]-Fret Sound Attack 과 [FSR]-Fret Sound Release Gain값을 조절할 수 있다.
5) Global Sample Start Time - [START]
: Guitar 줄을 stroke한 후, 울리는 줄의 Vibrato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최대 50ms까지 늘릴 수 있다.
* [START] time을 50ms으로 세팅한다면, DAW의 트랙 Delay time은 0ms으로 세팅한다.
* [START] time을 0ms으로 세팅한다면, DAW의 트랙 Delay time은 –50ms으로 세팅한다.
6) Capo
: Capo를 설치할 Fret를 결정한다.
7) Manual Vibrato Wheel
: 실제 연주자처럼 mode wheel로 Vibrato를 조절할수 있다. 만약 자동적으로 Vibrato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Setting]모드에서 [Auto Mod]을 ON하여 사용하면 된다.
8) StrMan and CapoMan
▶ StrMan
: Keyswitch [G0]~[C1]으로 각각 기타 6번줄부터 1번줄까지 구체적으로 원하는 기타 현을 선택할 수 있다.
▶ CapoMan
: 연주하고자 하는 fret의 위치를 직접수동으로 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먼저 keyswitch [C#1]을 누르면, Main Panel의 keyboard 건반아래 노란색(E1~G#2)라인이 표시되는데, Capo위치가 0 fret ~ 16 fret까지 지정할 수 있다.
EX) Capo를 8 fret에 낀 상태의 기타연주를 하고자 한다면, 먼저 [C#1]를 누른 후, 8 fret에 해당하는 C2를 누른다. 그러면 현재 Capo가 8 Fret 낀 상태임을 Main Panel에서 8로 표시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C2가 8 fret에 해당하는 건반이므로 연주할때는 C#2이상의 건반만 연주를 해야한다. 물론 C#2 아래의 건반을 눌러도 소리는 나겠지만, 그러면 Capo를 낀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즉, Capo의 위치가 선택된 Fret위에서만 연주를 해야만 Capo 연주효과를 얻을수 있다.
9) FX Sound Group
10) Poly Repeater – keyswitch [D6], [D7]
: 마지막으로 연주했던 음이나 방금 연주한 음을 반복해서 Downstroke이나 upstroke으로 계속 연주해주는 기능으로 한꺼번에 연주한 여러 음들도 가능하다.
4. Strummer Panel
: Main Panel 제일 왼쪽 위의 두 번째 [Strumm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Main Panel이 달라진다.
1) Strum Mode Toggle – keyswitch [C#6]
: [C#6] 건반을 높은 velocity (64~127)로 누르면 strum mode로 전환되고, 낮은 velocity (1~63)로 누르면 원 상태모드로 돌아간다. 그림 ①처럼 ON/OFF가 변환된다.
2) Strum Time and Mode
: Strum Time은 얼마나 빨리 기타 현을 picking하는지를 결정하는데, Keyswitch [C#5]를 누르는 velocity가 높을수록 [Strum Time]의 Knob의 시간이 짧아지고, velocity가 낮을수록 [Strum Time]이 길어짐을 알 수 있다.
EX) [Strum Time]이 1000ms으로 결정했으면, Knob아래 있는 버튼을 누르면 [Each]와 [All] 변환되는데, [Each]일 경우 코드음들 사이의 모든 interval이 1000ms이 되고, [All]일 경우 모든 interval을 총합이 1000ms이 된다. [Each]와 [All]로 변화시켜보면서 코드를 눌러보면 확연한 차이를 알수 있다.
3) Body Resonance and Mute Depth (Release time 조정)
: [Rel]은 Body Resonance를 나타내며 Rel/Mute knob의 Time값이 클수록 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Mute]는 Mute Depth를 나타내며 Rel/Mute knob의 Time값이 적을수록 Mute Depth가 커진다.
4) Strummer Humanizations (그림⑤)
● Humanization A (All)
: 총 Strum Time을 random하게 변화시킨다
● Humanization E (Each)
: 총 Strum Time에 영향을 주지않고 코드음들의 timing을 변화시킨다.
● Humanization V (Velocity)
: strum velocity를 random하게 변화시킨다.
● SEQ Swing (그림21)
: 기계적인 연주를 피하기위해 연주 Sequence를 timing을 tick단위로 변화시킬수 있다.
5) Chord Setting and Switch – Keyswitch [D5]
: 두 가지 chord mode가 있는데 [Select mode]와 [Detect mode]이다 (그림⑦). [D5]의 Velocity를 약하게 누르면 [Select Mode]로, 강하게 누르면 [Detect mode]를 선택할수 있다.
▶ [Select Mode] - 슬롯의 Chord를 선택하는 방식
● 총 24개 Chord 슬롯을 사용할 수 있다. (Browse Chords 1~12 & 13~24) -그림⑥,⑩
● 각 슬롯마다 Chord Root (12개), Chord Type (15개), Chord Position (3개)로 총 540개의 변화를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Fretboard의 음을 클릭하여 Chord를 변화시킬 수 있다.
★ Keyswitch [C1]~[B2]를 눌러 Chord 슬롯 1~24를 선택할수 있다.
● Chord Switch ([C1]~[B2])를 높은 velocity로 눌러주면 앞의 연주했던 Chord의 울림을 Mute 시킨다.
● [Transpose Whole Chord Bank] 버튼으로 전체 슬롯 24개의 Chord를 한꺼번에 Transpose 시킬 수 있다. (그림⑧)
● [Load Whole Chord Bank]버튼을 눌러 슬롯전체의 원하는 Chord 패턴을 Loading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Chord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 [Detect Mode] - 직접 Chord를 눌러 적용하는 방식
: 사용자가 C1~B2 사이의 건반을 직접 Chord를 눌러 바로 인식해 적용하는 기능으로 Root음은 C1~B1 안의 음을 눌러야한다.
Chord Inversion 또한 사용가능하며, Inversion의 구성음의 따라서 Position이 달라질수 있다.
Ex) C 코드
● position1 = C1 + E1 + G1
● Position2 = E1 + G1 + C2
● Position3 = G1 + C2 + E2
6) Chord Play and SEQ Setting (아래그림참고)
▶ 14 Strum Notes + 28 Ways to Play
: 14개 Strum 종류(세로축)와 Velocity 세기에 따라 28개방법으로 다양한 연주를 할 수 있는 Strum System. 건반으로 리얼한 Strum연주를 가능하게 한다.
[EX] 아래 그림은 코드 Em를 연주할 때 가능한 28개 연주방법
● C4 건반을 예로 들면, 가장 강한 Velocity일 경우는 [Down Full Strings]-6개 현을 모두 연주, 중간 Velocity일 경우는 [Down Bass 4 Strings]-6번부터 3번 현까지만 연주, 가장 약한 Velocity일 경우는 [Down Bass 3 Strings]-6번부터 4번 현까지만 연주한다.
* 14 Strum Notes
[D3]-6th String [E3]-5th String [F3]-4th String [G3]-3rd String [A3]-2nd String [B3]-1st String
[C4]-Downstroke Bass Open [D4]-Downstroke Treble Open [E4]-Upstroke Open [F4]-Mute1 [F#4]-Mute2
[G4]-Downstroke Bass Mute [A4]-Downstroke Treble Mute [B4]-Upstroke Mute
▶ SEQ Edit (그림 ⑫,⑬,⑭)
: SEQ는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Pattern 1~8 을 의미한다.
● : 해당 SEQ pattern을 제거하는 기능
● : 다른 SEQ pattern을 복사하여 그대로 붙이는 기능
● : SEQ 음들의 default Velocity를 결정하는 기능
: SEQ창에 있는 음들의 색깔은 Velocity의 강약을 나타낸다. 또한 각 음들 위에 마우스로 Up/Down으로 Velocity를, Left/Right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마우스 한번 클릭으로 원하는 음을 입력하고, 더블 클릭으로 음을 제거할 수 있다.
▶ Save/Load Pattern (그림⑮)
● [Load Pattern] 버튼을 눌러 pattern창에서 선택할 수 있다. Pattern창에서 [Scan Folder]를 통해 폴더를 변경할수 있고, 각 Category, Time Signature를 통해 원하는 pattern을 쉽게 찾아볼수 있다.
●사용자가 변경한 pattern을 [Save Pattern]으로 저장할 수 있다.
▶ SEQ Play
: Pattern 1~8 (그림⑪)까지 loading후 Keyswitch [C3](1), [C#3](2), [D#3](3), [F#3](4), [G#3](5), [A#3](6), [C#4](7), [D#4](8)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 SEQ Export (그림⑱)
: 현재 선택된 SEQ Pattern을 사용자 시퀀서 프로그램으로 Export button을 마우스로 drag하여 불러들일 수 있다.
7) Strum & Articulation
: Main 화면의 Articulations Keyswitch [C0~F#0]와 Strummer창의 Chord Keyswitch [C1~B2]의 조합으로 Strum하는 동안 해당주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 Strum Legato - Legato Slide (LS)
: LS (E0)를 누른 후 Strumming하고 있는 chord에서 다음 chord (같은 현, 다른 fret에서 연주)로 변경하면 두 개 chord 사이에 slide로 연주된다.
▶ Strum Legato - Hammer On & Pull Off (HP)
: HP (F0)를 누른 후 Strumming하고 있는 chord에서 다음 chord (같은 현, 다른 fret에서 연주)로 변경하면 HP연주를 할 수 있다.
▶ Slide in Strum
: Strum을 연주하기 전에 Slide In&Out (D#0)를 누른 후 연주하면 Slide주법으로 연주를 시작한다.
▶ Harmonic Strum
: Strum을 연주하기 전에 Natural Harmonic (C#0)를 누른 후 연주하면 Harmonic 연주를 가능하게 한다. 단, 3,5,7,9,12 fret에서만 가능하다.
8) Strummer Keys
: Strum에 관련된 모든 키를 정리해보자.
● 초록: Chord 선택창(select mode) 또는 Detect 창 (detect mode)
● 노랑: SEQ 선택창
● 파랑: Strum note
● 빨강: Chord mode & Strum Time 조절
5. Tab Panel
1) Tab Load (그림②)
: Ample Guitar는 GP3, GP4, GP5, GPX 파일을 불러들일수 있다. Tab파일의 이름은 숫자와 영문으로 구성되어야한다.
2) Tab Play (그림⑥) & Tab Loop Toggle (그림⑦)
: Play 버튼을 이용하거나, keyswitch [A6]로 플레이할 수 있다. [A6] velocity가 강하면 (127~64) ON, velocity가 약하면 (63~1) OFF 된다. 또한 [Tab Loop Toggle] 버튼이 켜지면 처음부터 반복해서 다시 연주된다.
3) Velocity Proportion (그림⑧) and Humanization (그림⑨)
: [Velocity Proportion]은 원곡 Tab의 연주 velocity 비율을 조절하고, [Velocity Humanization]은 random하게 velocity를 변화시켜 연주한다.
4) Tab Swing (그림⑩)
: 기계적인 연주를 피하기 위해 Tab연주 Timing을 10 tick 단위로 변화를 줄 수 있다.
5) Strum Time Proportion (그림⑪)
: Tab연주 시 원곡 strum time과의 비율을 변경할 있고, 만약 <Fixed by Strummer>을 선택하면 Strummer 화면에서 Strum Time knob의 조절 값에 따라 연주한다.
6. FX Panel
: 4개 Send FX - Reverb, Delay, Phaser, Chorus
4개 Direct FX – Compression, Overdrive, 5 Band EQ, Wah
▶ Compression
▶ Overdrive
▶ 5 Band EQ
▶ Wah
▶ Chorus
▶ Phaser
▶ Delay
▶ Reverb
7. Edit Panel
: 사용자 의도에 따라 모든 샘플의 Pitch와 Gain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Tune setting을 저장하거나 불러들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