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Guitarist [Strummed Acoustic] 매뉴얼
1. Pattern 선택과 연주
▶8개 패턴이 keyswitch [C1]부터 [G1] 까지 할당 (Kontakt건반에서 빨간색건반)
▶Ending – 노란색, Pickup – 초록색, Chord - 파란색
1) Pattern 연주
▶원하는 Chord를 파란색 건반(Kontakt)범위에서 눌러 연주
▶연주를 멈출 때는 5가지의 Ending pattern(노란색건반)을 선택하여 멈추거나, Latch mode가 Off일 경우 건반에서 손을 떼면 연주는 멈춘다.
2) Ending과 Pickup 연주
▶다양한 Ending 과 pickup 패턴을 제공한다.
▶현재 연주하고 있는 Chord로 연주를 끝낼 때, Ending (노란색건반) - [G#1]부터 [C2]건반을 누르면 연주는 멈춘다.
▶현재 연주하고 있는 Chord와 다른 Chord로 연주를 끝낼 때, Ending pattern 건반을 누르기 직전에 끝내고자 하는 chord를 누른 후 Ending 건반을 누르면 된다.
▶Pickup (초록색 건반)을 연주는 [C#2]부터 [D#2] 건반에 할당되어 있다.
※ Ending과 Pickup의 Volume은 입력하는 Velocity에 의해서 결정되며, Pattern의 dynamic은 Pitch Wheel으로 조절할 수 있다.
3) Low Voicing 과 High Voicing 섞어 쓰기
▶기본적으로 두 종류의 Voicing으로 녹음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대로 원하는 voicing만을 사용하거나, 두 voicing을 섞어서 쓸 수 있다.
▶[Sound] 페이지에서 2개의 Voicing Balance를 다양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조절할 수 있다.
▶Voicing을 조절은 Mod wheel이나 CC#1로 조절하거나,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정확하게 중심(Low 50%, High 50%)으로 되돌리려면, Ctrl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면 정중앙으로 원위치한다.
4) Accent 조절
▶연주 dynamic을 위해서 velocity 값으로 조절하지 않고, Accent의 [+]와 [-] 값으로 연주 dynamic을 결정한다.
▶마우스로 이용해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Pitch wheel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5) Sound Preset 로딩과 저장
: 오른쪽 상단에 위치. 원하는 Preset을 쉽게 선택할수 있다.
▶Sound 페이지에서 원하는 사운드로 변경한 후,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저장 할 수 있고, 삭제도 가능.
▶[Link to Song]을 체크하면, [Song Browser]에서 불러들인 Song의 환경에 저장되어 있는 Song preset을 특정한 Sond preset에 적용시킬수 있다.
6) Parameter 잠그기
▶Song Browser에서 Song을 로딩하면 각 Song에 따라 저장되어져 있는 parameter들이 함께 로딩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변경해 놓은 parameter (Playback, Auto Chords)들이 바뀌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으로 [Playback] 바로옆에 있는 자물쇠그림을 클릭하여 변경되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7) 박자표가 변화 후 Downbeat 지정하기
: 중간에 박자가 바뀌거나 한 마디의 박자수가 달라졌을 때, transport offset을 다시 세팅하는 방법으로 [CC#111]을 삽입하고 그 값의 범위는 0~127까지 입력할 수 있다.
▶32분 셋잇단 음표 하나의 값을 80 tick 값으로 계산한다.
▶즉, 32분 셋잇단 음표 3개는 16분음표 1개 길이와 같고, 32분 셋잇단 음표 12개는 4분음표 1개 길이와 같다.
▶예를 들어, 중간에 2/4박을 삽입한다면, 4분음표 1개 길이값이 12이므로 4분음표 2개길이는 24(12☓2) 값으로 입력하면 된다.
2. Pattern 페이지
: 하단부에 위치한 Pattern 페이지는 현재 로딩되어 있는 pattern들을 보여주고, 변경한 pattern 파라미터, 다른 pattern이나 song을 로딩한 상태를 보여준다.
▶각 슬롯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pattern을 로딩할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keyswitch가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슬롯에 있는 돋보기를 클릭하거나, 해당 슬롯을 더블클릭하면, [Pattern Browser]가 나타나고, 원하는 pattern을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슬롯에 있는 현재 pattern을 지우려면, [Alt] + 마우스 클릭
1) Song Browser
▶가운데 위치한 Song 이름을 클릭하거나, 오른쪽에 있는 돋보기를 클릭하면 Song Browser가 나타난다.
▶원하는 박자표를 클릭하면 해당되는 모든 Song 리스트를 볼수 있다. 만약, 박자표와 상관없이 모든 리스트를 보고 싶다면 박자표를 선택하지 않으면 된다.
2) Pattern Browser
: 원하는 슬롯에 사용하고자 하는 pattern을 선택할 수 있다. 더블클릭이나 돋보기를 눌러 Pattern Browser를 열 수 있다.
▶[Rhythm Search]는 점으로 표시된 부분을 빨간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Rhythm을 찾기 쉽게 도와주는 기능이다. 원하는 곳에 빨간점을 찍을 때 마다 그와 비슷한 pattern들이 아래 리스트로 표시되는 것을 알수 있다.
※ 단, 이 기능은 내장되어 있는 pattern을 찾기 위한 기능이지, Step Sequencer처럼 원하는 리듬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한 개의 점은 16분음표 하나를 의미한다.
▶반복된 pattern을 입력하려면, 첫 번째 rhythm을 입력한후, 다시 반복되는 구간에 [Alt] + 클릭하면 rhythm이 복사되어 입력된다.
▶선택된 Patter과 비슷한 Pattern들을 찾는 방법으로 원하는 rhythm을 선택한 후, 오른쪽에 위치한 [similar] 버튼을 누르면 아래에 리스트에 나열된다.
▶Preview chord 바꾸는 기능
▶8개의 Keyswitch중에 pattern을 바꿀 때, 원하는 Keyswitch를 선택하는 기능
▶카테고리별로 선택하여 찾아내는 기능으로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리스트에 pattern들이 보여진다.
3) Info 패널
:선택된 pattern의 길이와 시작점, 볼륨과 템포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
▶ [Pattern] 탭
∙ [Start Shift]는 패턴의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다. 좌,우로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조절한다.
∙ [End Step]는 깃발이 있는 곳이 리듬이 끝나는 부분으로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 위의 두 기능을 잘 이용하면 홀수박자(3/4, 5/8, 7/8등) 음악에 유용하게 쓸 수 있고, 새로운 느낌의 Rhythm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Volume]은 선택한 Pattern의 volume을 –12dB부터 +6dB까지 조절할 수 있다.
∙ [Tempo]는 1/2, 1:1, x2 등 3가지로 조절할 수 있다.
▶ [Mapping] 탭
4) Auto Chords 패널
: Midi 키보드로 다양한 chord들을 연주할 수 있다. Major, minor, no 3rd, diminished, augmented, half-diminished, 다양한 suspension, alternation, slash chord (G/C, Gm/C, G7/C, Gm7/C, Bb/C 등)
하지만, 사용자가 chord 연주에 익숙하지 않을 때, [Auto Chords] 기능을 사용하면, 지정한 key에서 주로 사용하는 chord들을 자동적으로 건반에 할당되어 보여준다.
▶Major key일 경우 Root음은 건반 C에 할당되고, minor key일 경우 Root음은 건반 A에 할당된다.
3. Sound 페이지
: 하단부에 있는 [Sound] 탭을 누르면 볼 수 있다. STRUMMED ACOUSTIC의 사운드를 조절하는 곳이다.
1) Voicing Section
▶Voicing을 조절은 Mod wheel이나 CC#1로 조절하거나,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정확하게 중심(Low 50%, High 50%)으로 되돌리려면, Ctrl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면 정중앙으로 원위치한다.
▶Low와 High voicing은 둘다 Stereo 또는 Doubling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Stereo 모드에서 High voicing의 pan 밸런스 (L-R)을 바꿀수 있는데, High Stereo 슬라이더아래 [⇔]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L-R]이 [R-L]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 4명의 연주자가 연주하는 듯 풍부한 사운드를 구현하려면
⇒ Low&High voicing을 Doubling 모드로 세팅한 후, 두 사운드를 50%씩 섞어준다. 그리고,[⇔] 버튼을 눌러 High voicing의 L-R 채널을 바꾸면 더 풍부한 사운드를 얻을 수 있다.
※ Doubling 모드에서 좀 특별한 사운드 구현
⇒ Low&High voicing을 Stereo 모드로 세팅한 후, 각 pan을 제일 끝으로 (L:100%, R:100%)으로 세팅하고, 두 사운드를 50%씩 섞어준다.
※ 음악에 Chorus 섹션을 좀 더 두껍게 구현
⇒ Chorus 섹션의 제일 처음에서 Stereo에서 Doubling으로 서로 바꾸는 작업을 recording하고 automating 과정을 거친다.
※그외 다양하고 기발한 sound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recording하여 자신의 음악에 맞는 사운드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Stereo, Doubling 모드, pan전환, Accent 연주 등)
▶FRET NOISES: Chord 전환 시 자동적으로 나는 사운드의 Volume 조절
▶EQ: 제공하는 EQ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양을 조절한다.
▶COMP: 제공하는 Compressor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양을 조절한다. (Dry/Wet 양을 조절, 0~100% wet)
▶REVERB: 연주자가 연주하는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4. Playback 페이지
: 하단부에 위치한 [Playback]탭을 누르면 볼 수 있고, 패턴이 연주되는 방식을 조정 할 수 있다.
▶SWING: 8분음표와 16분음표의 Swing 연주를 선택할 수 있고, 0%는 모든 패턴의 오리지널 사운드를 연주한다.
▶HUMANIZE: 모든 패턴의 Quantize 량을 조절한다. knob의 가장 오른쪽 [Original]은 연주자의 연주 그대로를 구현하고, 가장 왼쪽[Quant.]는 완벽하게 Quantize된 연주를 한다.
▶LATCH MODE: 연주방식 결정
∙ Keep playing: 건반을 누르고 손을 떼더라도 계속 연주하는 모드이며, 다른 Chord로 바꾸어 연주했을 때,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연주한다. 연주를 끝내려면, Ending 건반(노란색)을 누르면 된다.
∙ Stop....: 나머지 5개는 지정한 박자 안에 건반에 손을 떼면 연주를 멈추게 된다. 잠시 Latch 모드를 사용하려면 Sustain pedal(CC#64)를 사용하면 다른 chord로 전환할 때 유용하다.
▶PATTERN SYNC
∙ Sync to host: 연주를 어느 부분에서 시작하더라도 (마디 중간이라도) 연주하는 마디와 패턴의 Sync를 정확히 맞추어 패턴연주가 시작된다.
∙ Start on Key: 시퀀서의 연주시점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건반을 누르기 시작한 부분부터 패턴의 첫 부분부터 연주하기 시작한다.
▶TIMING: 연주느낌을 약간 느리고(+방향) 또는 약간 빠르게(-방향)하는 기능
▶TEMPO: 전체 연주 템포를 조절한다.